2009년 9월 22일 화요일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



휴대폰, 노트북, PDA 등 첨단 디지털 장비로 무장한 채 자유롭게 떠도는 21세기형 유목민. 유목민을 뜻하는 라틴어 ‘노마드’와 디지털이 만났다.

 

최신 디지털 첨단장비를 소지하여 노트북, PDA와 휴대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외부와 접속하며 이동하고, 일정한 직장과 주소에 얽매이지 않으며, 또한 음식이나 차를 마실 때도 테이크아웃(take out) 제품을 애용하는 21세기 유목성향의 소비계층을 일컫는 말이다.

 

일정한 주거공간과 직업 없이 자유롭게 활동하는 창조적인 사고방식의 소유자.

디지털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는 사이버 신인류 중 가장 주목받는 인간형임.

 

디지털기술의 진보에 가장 빨리 적응하면서 기술의 진보를 따라잡지 못하는 일반인들을 이끌어갈 인간형.

 

디지털 노마드족 십계명


01 . 인생은 모바일, 왔다가 가는것이다.

어차피 한 번 뿐인 인생을 위해 넓고 크게 살아야 한다. 인간은 결심하는 만큼 행복해진다고 믿는 것.

"성공의 첫 번째 조건은 항상 꿈을 잃지 않는 것이다" 가장 좋아하는 일에 가장 열심히 매달려야 한다.

 

02 .사오정을 피하라!

사오정은 '사십오세 정년'의 앞자를 줄인 말이다.

뻔한 미래, 잃어버린 꿈, 점점 확인되는 무력감 이런것을 버려야 한다.

제 2의 인생을 살 준비를 하라.

무엇보다 '완벽을 얻고자 한다면 시작 전에 완벽하게 연습해야 하는것' 이다.

 

03 . 내가 허브다!

내가 허브(hub)여야 한다. 철저한 주체의식이 있어야 한다.

나를 중심으로 세상이 돌아가게끔 만들어야 한다.

차별되는 나만의 컨텐츠가 있어야 한다.

 

04 .사막 정신을 체득하라!

결핍을 참아낼 줄 알아야 한다. 버릴 것들은 과감하게 버리고 가벼움과 단출함을 실천해야한다.

치열한 생존 경쟁에서 이겨내기 위해 투쟁해야 한다.

 

05 .고체가 아니라 유체다!

고정적인것, 고체적인 것은 환영받지 못한다.

흐르고 이동하는 액체와 유체적인 것들이 환영받는다. 유동성의 흐름을 먼저 간파하고 그 흐름을 잘 따라가야 한다.

 

06 .ON과 OFF를 잘하라!

일할 때와 쉴 때, 근무할 때와 놀때를 구분해야 한다.

독립적이어야 하고 자리관리 또한 철저해야 한다.

 

07 .항상 좌표를 확인하라!

길을 읽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의 좌표를 잘찾아야 한다.

21세기의 노마드, 유목민의 사막에서는 곧바른 길보다 구부러진 길, 미로처럼 복잡한 길을 잘 뚫지 않으면 안된다.

 

08 . Live different, think different!

남다른 생각, 남다른 주장, 남다른 체취, 남다른 기술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살아남을 수 있다.

 

09 .스파이가 되어라!

새로운 정보를 늘 구해야 한다. 그것도 빨리.

쏟아지는 정보를 가려내는 것 또한 유목민의 또 다른 자질이다.

정보의 바다를 헤쳐나가 정복해야 하는것이다.

 

10 .술과 밥타령 대신 정보를 구하라!

새로운 네트워크에 몸을 실어라. 디지털 유목민의 세계에서는 권력과 돈이 아닌 정보를 가진자가 존경 받는다.

2009년 9월 20일 일요일

신종 인플루엔자A (H1N1)

명칭

 

본래 2009년 4월 사태가 본격화되기 시작할 무렵, 이 병을 부르는 명칭은 조류 독감과 대비되는 돼지 독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SI가 널리 통용되었다. 하지만 돼지가 역학 관계상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러한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크게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 전세계적으로 있었다.

이에 세계보건기구는 돼지와의 연관관계를 알 수 없다고 보고, 이 병의 명칭을 H1N1 인플루엔자 A라고 결정하였다. 하지만 학계는 돼지와 관련성이 명백히 존재한다며 이러한 주장에 반대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에서는 WHO의 결정 이후, 정식 명칭 이외에도 편의상 신종 인플루엔자 혹은 신종 플루라고 부르기로 하였으며, 언론 등에서도 이 명칭을 따르고 있다.

 

[ 2009.09.16 ] 현재 상황

 
 
     감염 환자 확인 및 사망자 발생      감염 환자 확인      감염 의심 혹은 추정 환자 발생

 

 

세계 각 국의 이 질병 감염자 및 사망자는 표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는 감염환자가 260,000명이 넘어섰으며, 감염에 의해 죽은 사망자는 20여개국에서 나타났다. 감염환자가 나타난 나라는 129여개국이다.

한편 홍콩에서는 신종 플루 치료에 쓰이는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가 처음 확인됐다. 홍콩 위생서는 지난 6월 1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귀국한 16세 소녀에게서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7월 4일 발표했다.

 

변종

브라질에서 신종플루의 변종 바이러스가 처음으로 출현했다. 2009년 6월 17일 브라질 상파울루 주정부 산하 아돌포 루츠 세균연구소는 한 환자의 몸에서 신종플루 바이러스의 변종을 추출하고 '인플루엔자 A/상파울루/H1N1'로 명명했다.


타미플루 내성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서브타입 H1N1


2009년 9월 11일(한국시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10대 소녀 2명에게서 타미플루에 내성을 가진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서브타입 H1N1에 감염되었다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밝혔다.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소녀 2명은 지난 7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서부의 한 여름캠프에서 같은 숙소를 썼었다. 캠프 이후에 참가자 600명은 모두 타미플루를 복용했으나 검사 결과 소녀 2명은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변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행히 두 소녀는 심각한 증상을 보이지 않고 회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건 이전에 중국, 일본, 캐나다, 이스라엘 등에서도 타미플루 내성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나온 바는 있었으나, 이번 바이러스는 사람 간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여서 보건당국에 긴장감을 주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해당 바이러스는 '1223V'로 기존의 신종플루에서는 발견되지 않던 종이다. 이와 함께 이스라엘 바이러스 감염 중앙 연구소도 신종플루 완치 환자의 표본을 검사한 결과, 신종플루 바이러스에 타미플루 내성 요소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대한민국의 상황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 9월 16일 발표를 기준으로 약 1만명 이상이 감염되었고, 8명은 중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고 있으며, 9명이 지병 합병증 또는 급성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대한민국의 신종 인플루엔자 치료 거점병원·약국 지정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는 서울·부산·대구·충남·충북·전남·전북·경남·경북·제주 등 16개 지역에 거점약국 567곳과 거점치료병원 455곳 등 총 1000여곳을 지정했다.  이와 함께 전국의 치료 거점병원과 거점약국표를 공시하였다. 대한민국에서 해외에 다녀온 학생들은 1주일간 등교가 금지되고, 해외에 다녀온 직업인들은 1주일간 출퇴근이 금지된다.

 

 

 

 

▶ 내용 출처 : 위키백과 -  http://ko.wikipedia.org/wiki/%EC%8B%A0%EC%A2%85%ED%94%8C%EB%A3%A8

 







  • 이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09년 9월 19일 토요일

    3DP Bench - 윈도7 부팅시간, 재부팅시간을 측정해 보자

     3DP Bench (3DP 벤치)



    ..................................................................................................................................................

     

    설명 :  무설치, 단일 저용량 파일로서 윈2000/XP/Vista/7 및 서버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서, 웹과 연동된 랭킹 기능을 통해 자신의 컴퓨터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연동된 커뮤니티 사용이 가능.


     

    <주의>

              V3Lite에서는 못잡는데.  일부 백신에서 바이러스로 인식 할 수 있음.




    ▶ 다운로드:  

     

     

     

     

    ◀  나의 넷북 측정 결과.

     

     

     

     

    CPU : Intel ATOM N270 - 1.6GHz

     

    메모리 : 2GB

     

    HDD : 320G

     

    OS : Windows 7 UltimateK 32bit

     

     

     

     


     

    역시 넷북이라 성능이 많이 딸리는 것 같군요..

     

    그래도 XP보다는 윈도7이 부팅속도가 좀더 빨라진 것 같습니다.

     

    온라인에 접속하면 전체순위도 볼 수 있고... 재미삼아 측정해보세요~^^

     

     

     

     

     

     

    ▶ 자료 출처: http://www.vga.pe.kr/3dp/bench/

    Bluetooth 어원과 최신 Bluetooth 마우스

    ZDNet의 메가 TV에 올라온 동영상으로 블루투스에 대한 어원과  최근 출시된 블루투스 마우스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로지텍  M555b 블루투스 마우스가 무척 마음에 드네요~ ^^;  

     

     

     
    • 날짜 : 2009.09.17
    • 기획제작 : 진행 이장혁 기자, 제작 유회현 PD
    • 재생시간 : 03:39

     

    블루투스는 PC·휴대폰을 비롯해 각종 디지털기기 등을 하나의 규격으로 통일한 무선통신규격이다.

     

    지난 1994년 통신업체인 스웨덴의 에릭슨은 휴대폰과 그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무선솔루션을 개발했는데 이후 1998년 에릭슨을 주축으로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 등 글로벌 IT기업들이 합류하면서 블루투스SIG(Special Interest Group)가 발족하게 됐다.

     

    이후 블루투스는 마이크로소프트, 모토로라, 쓰리콤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글로벌 표준 규격으로 자리매김했다.

     

    블루투스는 2.45GHz 대역을 사용하며 블루투스 2.0 버전의 경우 초당 2.1메가 정도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최근 발표된 블루투스 3.0의 경우에는 최대 24메가 정도로 속도를 크게 높였다.

     

    이번 영상은 별도의 수신기가 없어도 블루투스를 통해 깔끔하고 편리한 PC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블루투스 마우스 3종을 담았다. 마이크로소프트 블루투스 노트북 마우스 5000, 로지텍 블루투스 마우스 M555b 그리고 플래오맥스의 블루투스 마우스 MBC-800B 제품이다.



    ▶ 내용 출처 : http://www.zdnet.co.kr/Contents/2009/09/17/zdnet20090917101040.htm

    A.I _090920 - WGA 와 OGA 크랙 통합 버전

    윈도포럼에 올라온 A.I.인증 최신 버전이네요~ 카리스마조님이 직접 올리신 글입니다.


     

     


    A.I _090920 버전의 특징


    1. 인증과 최적화는 통합 시켰습니다. kn 버전은 지원 안합니다 kn 버전 사용자는 다른 인증툴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EMB000001887292

    2. 최적화후 파일 보기와 리테일 인증시 파일 교환 폴더를 분리 하였습니다

    메인창에서 T 를 입력하면 토큰파일을 바로 교환할수 있는 파일교환 폴더가 생성 됩니다.


    EMB000001887293

    3. 최적화후 마소에서 인증 되면서 토큰이 늘어나는 분이 있는대 마소로 접근하지 않고 로컬 인증만 되도록 수정 하였습니다.


     

    4.전화인증 받을때 자신이 설치한 버전이 아니더라도 선택한 버전으로 최적화한 다음 전화인증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홈 베이직으로 설치 했더라도 얼티밋 인증을 받고 싶으면 얼티밋을 설치하지 않고도 바로 인증시 얼티밋을 선택하면 얼티밋으로 시스템이 준비가 됩니다.

    여러 버전으로 인증한 토큰을 만들 경우 유리합니다.


     

     5. WGA OGA 크렉을 통합 했습니다 .

     


    * 옵션 기능에 대하여 짧게 설명 합니다



    1>  VistaBootPro          -멀티부팅 순서 설정 부팅메뉴 복구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

    2>  Registry                - 레지스트리 검색 편집 프로그램

    3>  Keyfinder               -윈도우에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의 키를 확인 또는 백업하는 프로그램

    4> TakeOwnership        -파일 또는 폴더에 권한을 부여하고 프리페치 파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 속도를 높이는 팁

    5>  Temp                    - 임시파일 자동 제거 프로그렘

    6>  Ram                      -32비트 윈도우7과 비스타에서 4G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 할 수 있는 프로그램

    7>  RemoveWatermark   -워터마크 제거 프로그램

    8>  DWM                     -윈도우 창을 완전 투명과 반투명으로 전환 가능한 팁

    9>  Personalizationmain  -스타터와 홈 베이직 버전에서 개인설정 태마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팁

                                       (이가님의 단축키 수정 버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G>  WGA OGA               - 마소에서 정품 확인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L>   LOGO                    -시스템에 OEM 로고를 입력 할 수 있는 프로그램

     



    ▶ 다운로드 :

     


    ▶ 내용 출처 : http://windowsforum.kr/?document_srl=267311

     

    2009년 9월 18일 금요일

    A.I _090917 - 윈도7 Retail 전화인증 추가


    AI 인증프로그램이 17일자로 또 새로 나왔군요~

    아직 실행해 보진 않았지만 매번 새로운 인증방식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네요~

    저도 설명이 잘 이해가 안되어서 댓글단 유저님들의 글을 재편집했습니다. 그래도 어렵군요~

    아무튼 애쓰신 카조님의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A.I _090917


    전화인증 받은 키와 확인 ID는 TEL_ID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편집으로 열어 자신의 것으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7번에서 리테일 최적화후 TEL_ID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테크넷 구독자나 정품사용자도 최적화 됩니다

    최적화는 모든 버전이 가능합니다.

     

    ---------------------------------------------------------------------------------------

    "최적화후 인증까지 한 상태에서 7번-4번
    메인창에서 T 를 입력하면 A.I가 종료되면서 파일보기폴더가 생성됩니다
    파일보기 폴더안의 최적화후 파일보기 안에있는 파일을 백업 하거나 복원 하시면 됩니다.
    백업은 물론 다른 장소에 백업해 두셔야 합니다 인증받은토큰과 TEL_ID는 백업해 두시면 됩니다

     

    나중에 재설치후 인증시는 먼저 A.I로 최적화를 한다음 7번-4번
    메인창에서 T로 파일보기를 열어 백업했던 파일로 교체한후 TEL_ID를 입력하면 됩니다
    ID는 만약 하드웨어 변경에 의해 안먹더라도 키와 토큰에 의해 인증됩니다."

    ---------------------------------------------------------------------------------------


    Q. 그럼. 나중에 재설치후 인증시에는

    최적화후 파일보기 폴더에 있는 "백업해 둔 최적화된 토큰"을 무엇과 교체한다는 말인지요????

    ->

    최적화 후 파일보기 폴더에 있는 파일들과 님의 백업해둔 파일은 모두같습니다. 단지 님의 백업해둔 파일에는 님의 정보가 들어있는 것이죠. 그래서 님이 가지고 있는 정보 파일들을 최적화 한 후 파일들과 바꿔치기 하라는 뜻입니다. 그 다음 TEL_ID.cmd 파일 더블클릭 하시구요.... ㅎㅎ 제 말이 좀 어렵나요? 이해가 안되세요?

     

    Q. 그런데 TEL_ID.cmd 파일은 "파일보기 폴더안의 최적화후 파일보기 폴더"에 있는데 아니고

    "파일보기 폴더안의 최적화후 파일보기 폴더에는 토큰 파일 밖에 없습니다.

    ->

    예 맞습니다. TEL_ID.cmd 파일은 압축 풀면 AI_Run.cmd 파일과 같이 있습니다. 편집에서 더블클릭하는데 무슨 문제가 있습니까? 파일보기 폴더 안에 없는게 맞습니다. TEL_ID.cmd 파일을 백업 하라는 말을 같은 폴더안에 있으니 같이 백업하라고 한 것 처럼 오해하신 모양인데 같은 폴더안에 없어도 TEL_ID.cmd 는 님의 정보가 들어 있으니 백업 하라는 말입니다.


    ▶ 하얀연탄 님의 댓글 :

     

    1 저 또한 al 가상 바이오스 인증 사용 중에  Al 실행 → R → 인증 전으로 복원 → TEL_ID 클릭하여

       "설치 ID"를 메모장에 메모해 놓고 (인터넷 차단하지 않음)  

    2. 전화 1577-9700번 2 → 2 → 설치 ID 입력 → 1 → 1 → 새로받은 ID를 메모장에 입력.

       (아가씨의 입이 모터라 핸드폰으로 통화 녹음함.) 

    3. TEL_ID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편집 → 인증 받은 ID 입력하여 저장. 

    4. Al 실행 → 2 → 5 (모든 가상 바이오스 제거) → 다시 부팅 

    5. 시스템 실행 → 제품 키 입력하여 온라인 인증. 

    6. AI 실행 → 7 → TEL_ID 실행 후 → 3번 클릭하면, 인증 후 최적화 완료 후 →파일보기 생성된다. T 입력 → 종료.



     

    ▶ 777 님의 댓글 :

    ----------------------------------------------------------------------------------------------------------------------

    *** 최적화 작업 ***


    1. 네트웍 케이블을 뺀다

    2. 전화 인증 받을 때 사운드 카드 또는 CD-ROM 사용안함으로 해서 인증받았던 사람은 똑같이 사용안함으로 셋팅한다.

      * 즉, 전화인증 받을 때의 셋팅과 동일해야 함

    3. AI 압축 파일을 받아 압축을 푼다.

    4. TEL_ID.cmd 파일 오늘쪽 버튼 - 편집을 해서 어제 전화인증 받았던 Key와 확인 ID를 입력하고 저장한다.

    5. AI_Run.cmd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6. 메뉴의 7번 - 3번으로 간다.

    7. 조금 후 자신의 운영체제를 물어본다. 그럼 자신의 운영체제를 선택한다.

    8. 잠시 후 인증 하고 최적화 작업까지 한다.

    9. 최적화 작업이 다 되면 자신이 인증 받았던 키와 확인 ID를 실행하라고 한다.

    10. 그럼 4번에서 했던 파일을 더블클릭 한다.

    11. 잠시 후 확인 ID를 보관했다는 메세지가 나온다.

    12. 5번에서 실행한 AI의 초기 화면에서 t를 누르고 엔터친다.

    13. 화면에서 '감사합니다' 라고 하면서 종료된다.

    14. 시작 -> cmd -> slmgr -dlv 라고 치고 엔터 -> 인증 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까지 되었으면 최적화 작업이 완료 된 것이다.)

     

    15. 다시 네트웍 케이블을 꽂는다.

    16. 2번 작업에서 다시 사용함으로 돌려놓는다.

    17. 4번 항목의 TEL_ID.cmd 파일(자신의 Key와 확인 ID가 있음)과 AI압축 파일을 푼 곳에 최적화 후 폴더를 별도 보관 한다. (토큰)

    18. 신나게 win7 한다~

     

    * 확실히 최적화 하면 날라다닙니다. 개인적으로 pro가 좋네요...

     

    ----------------------

     

    < 추후 포맷 후 재 설치 인증 방법 >


     


    <위 캡쳐화면은 카리스마조님이 하신 것입니다. 제가 한 것 아닙니다.>

     

     

    17일 이후 버전에 재설치 후 인증 받는 방법입니다. (17일 이후 버전은 곧 나오거나, 또는 보물찾기 하면 있습니다.)

     

    * 네트웍 케이블 제거

    * 전화인증 할때의 셋팅과 동일하게..(사운드 카드 제거 한 경우 -> 사용안함으로)

     -> 저의 경우 '사용함'으로 해서 인증받으니까 인증 안된다고 하더군요...

     -> 안전하게 전화인증 할때의 셋팅과 동일하게 하고 하세요~

     

    * AI 19일 버전 실행 -> 7 - 3

     

    위의 4번 그림 메세지가 나오면

     

    포맷 후 인증받는 방법은 2가지 입니다.

     

    1. 백업해 둔 TEL_ID.cmd(본인의 제품 키와 확인ID저장)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확인ID를 보관하였습니다.'

       메세지 나오면 됩니다.

     

    2. 전화인증 받고 AI로 최적화 하면 최적화후파일 안에 Token.dat 파일 있죠? 백업해둔 파일 말입니다.

        이 백업한 파일을 19일 AI 최적화 후에 생긴 token.dat 파일과 바꿔치기 하십시요.

      * 여러분이 백업 해두었던 최적화 후 Token.dat 파일은 여러분의 정보가 담겨져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인증받을 때

         백업받아둔 token.dat 파일을 덮어씌우는게 당연하겠죠?

      * 덮어씌우기 전의 최적화로 생긴 token.dat 파일은 여러분 본인의 정보 파일이 아닙니다.

     

    3. 시작 -> cmd -> slmgr -dlv 인증확인

     

    ----------------------------------

     

    * 중요한 것은 전화인증 받을 때 사용한 제품 키와 확인 ID (수정된 TEL_ID.cmd) 백업!! 백업!!

      그리고 최적화 한 후의 token 파일 백업!! 백업!! 이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노트북 이용하시는 분들은 뭐 '난 하드웨어 변동 사항이 없는데' 하고 백업 안하실 수가 있는데 그래도 백업 해 두세요... 다 피가되고 살이 될겁니다.

     

    이상 끝~~

    --------------------------------------------------------------------------------------------------------------------


    ▶ 다운로드 :  





    ▶ 내용 출처 :  http://windowsforum.kr/?document_srl=256912#111